2.1 코스의 경계와 아웃오브바운즈 Course Boundaries and Out of Bounds
골프는 위원회가 정한 경계 안의 코스에서 플레이하는 것이며, 그 코스에 속하지 않은 구 역은 아웃오브바운즈이다.
2.2 코스의 구역 Defined Areas of the Course
코스에는 다섯 가지 코스의 구역이 있다.
2.2a 일반구역
일반구역은 규칙 2.2b에 규정된 네 가지 특정한 코스의 구역 이외의 코스 전역이다.
이 구역이 ‘일반구역’으로 불리는 이유는:
- 이 구역이 코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며, 볼이 퍼팅그린에 도달할 때까지 플레이어가 주 로 플레이하는 구역이기 때문이다.
- 이 구역에는 페어웨이ㆍ러프ㆍ나무처럼 그 구역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지면과 자라거나 붙어 있는 모든 물체가 포함된다.
2.2b 네 가지 특정한 구역
네 가지 코스의 구역에는 일반구역에는 없는 특정한 규칙들이 적용된다:
- 플레이어가 홀을 시작할 때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티잉구역 (규칙 6.2)
- 모든 페널티구역 (규칙 17)
- 모든 벙커 (규칙 12)
- 플레이어가 플레이 중인 홀의 퍼팅그린 (규칙 13)
2.2c 볼이 놓인 코스의 구역
플레이어의 볼이 놓인 코스의 구역은 그 볼을 플레이하거나 구제를 받는 데 적용되는 규 칙에 영향을 미친다.
언제나, 볼은 어느 한 코스의 구역에만 놓인 것으로 간주된다:
- 볼의 일부가 일반구역과 네 가지 특정한 코스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에 걸쳐 있는 경 우, 그 볼은 그 특정한 코스의 구역에 놓인 것으로 간주된다.
- 볼의 일부가 두 가지 특정한 코스의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, 그 볼은 페널티구역>벙 커>퍼팅그린의 순으로 그 특정한 구역에 놓인 것으로 간주된다.
2.3 플레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물체 또는 상태 Objects or Conditions That Can Interfere with Play
특정한 규칙들은 다음과 같이 특정하게 규정된 물체나 상태로 인한 방해로부터 페널티 없 는 구제를 허용할 수 있다:
- 루스임페디먼트 (규칙 15.1)
-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 (규칙 15.2)
- 비정상적인 코스상태 - 즉, 동물이 만든 구멍·수리지·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·일시 적으로 고인 물 (규칙 16.1)
그러나 플레이에 방해가 되더라도, 코스의 경계물이나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로부터 는 페널티 없는 구제를 받을 수 없다.
2.4 플레이금지구역 No Play Zones
플레이금지구역은 비정상적인 코스상태(규칙 16.1f 참조)의 일부 또는 페널티구역(규칙 17.1e 참조)의 일부로, 플레이가 허용되지 않는 곳이다. 다음과 같은 경우, 플레이어는 반드시 구제를 받아야 한다:
- 플레이어의 볼이 플레이금지구역에 있는 경우
- 플레이금지구역 밖에 있는 볼을 플레이할 때, 그 플레이금지구역이 플레이어의 의도된 스탠스 구역이나 의도된 스윙 구역에 방해가 되는 경우(규칙 16.1f, 규칙 17.1e 참조)
'골프룰(R&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규칙3. 경기(후반부)2/2 (0) | 2023.06.28 |
---|---|
규칙3. 경기(전반부)1/2 (0) | 2023.06.28 |
규칙1. 플레이어의 행동 그리고 규칙 (0) | 2023.06.28 |
R&A USGA 골프규칙 목차(2023년 1월부터 유효) (0) | 2023.06.27 |
2023년부터 새롭게 바뀌는 룰에 대해서 (0) | 2023.06.26 |